“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다"/최택만
대한불교조계종이 8일 문재인 정부의 불교 문화재 인식이 천박하다며 김현모 문화재청장과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비서관의 사퇴를 촉구했다.
조계종은 문 대통령 부부의 서울 북악산 법흥사터(추정) 초석 논란과 관련해 “그냥 사과하면 될 문제를 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강력 비판했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봉이 김선달’ 발언 등으로 문 정부와 더불어민주당이 조계종과 가뜩이나 소원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와 정부의 섣부른 해명이 더 불교계의 분노를 자극하는 모양새다.
이날 조계종은 보도자료를 통해 “비지정 불교문화재에 대해 천박한 인식을 공개적으로 드러냄으로써 사회적 논란을 가중시킨 문화재청장과 국민소통수석은 즉각 사퇴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혔다.
조계종은 청와대와 문화재청에서 비지정 불교문화재를 세심하게 살피지 못한 것에 대해 사과를 했다면 포용할 수 있었던 문제였다”며 “그럼에도 관계자들이 변명으로 일관하다 보니 또 다른 실언과 논란이 지속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지난 5일 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는 북악산 남측면 개방 기념 산행 도중 법흥사로 추정되는 절터의 연화문 초석에 앉아 동행한 김 문화재청장과 법흥사에 관한 이야기를 나눴다. 불교 문화재를 소홀이 다뤘다는 비판이 커지자 문화재청은 7일 “초석은 중요한 지정·등록문화재가 아니다”라는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조계종은 “문 정부가 갖고 있는 비지정 불교문화재에 대한 천박한 인식을 확인하게 되었다”며 “사찰터는 가장 긴 시대성을 가진 유적 가운데 하나이며, 다양한 분야의 변천사를 내포하고 있는 우리의 대표적인 비지정 문화재”이라고 반박했다.
‘법흥사 초석’ 논란이 좀처럼 진화되지 않으면서 올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불교계와 관계 개선을 모색 중인 여당의 고민도 커질 것으로 보인다. 앞서 정청래 의원은 지난해 국정감사에서 해인사 문화재 관람료를 ‘통행세’로, 사찰은 ‘봉이 김선달’에 비유해 불교계의 반발을 샀다.